과감한 은퇴 계획 변경이 필요합니다(2)
과감한 은퇴 계획 변경이 필요합니다 (2) 요즈음 주식가격이 30% 이상 하락하여, 펜데믹 전의 수준으로 돌아갔다고 합니다. 30%란 전체의 평균이고, 아마도 이벤트 주나 유튜브를 보고 종목을 선정하여 주식을 사신 분들은 반 토막 이상이 되었을 것입니다. 요즈음 조금 이상하지 않나요? 정부도 경제분석 기관도 뚜렷한 기준을 내놓지 않고 금리에만 집중하여 여론을 몰고 가고 다른 주변 상황은 침묵합니다. 2020년 기준, 미국의 주식 총 자산가치 금액은 GDP의 194%라 합니다. 펜데믹 기간 중 적어도 50%의 주식 가치가 올라갔습니다. 무려 미국 총 GDP만큼, 여기에 더하여 주택가격이 30% 이상 상승하였고 금액으로는 6조 달러에 달합니다. 연준은 2020년 10월에 이미 목표 물가 상승률 2%를 초과하여도 관여하지 않겠다고 발표하였고, 사실 펜데믹 기간에도 물가는 이미 슬금슬금 오르고 있었습니다. 대기업이나 상위 5%의 부자들, 특히 은행은 누구보다도 상황을 잘 알고 있을 터이나 절대로 공개하거나 언급하지 않고 그사이에 대차대조표상 현금유보율을 최대한 올려 빠지고, 폭락한 주식, 말도 안 되게 오른 집값, 앞으로 있을 최악의 물가상승, 경제의 어려움을 일반인들만 감당해야 합니다. 은행과 대기업들은 금융 사태 때와는 달리 절대로 무너지지 않을 만큼의 현금을 쌓아놓고 있습니다. 여기서 우리는, 묵과하면 안 되는 만고불변의 법칙인 “언젠가는 제자리로 돌아간다”는 사실만 잊지 않으면 좀 더 차분한 마음으로 이 어려움을 극복할 것입니다. ▲ 집값이 떨어지지 않을까요? 일반적인 사항은 저번 달에 설명해 드렸으니, 현재의 상황에 대하여 말씀드리겠습니다. 집값은 약간 다시 오르나 일반 바이어분들은 내렸다고 느낄 것입니다. 지난 1년간 주택가격은 미친 듯이 올랐고, 오르는 형태는 매물 부족으로 경쟁이 되어 최종 에스크로 가격이 5-10%가 높게 거래됩니다만, 에이전트나 감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