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융자의 비용 - 알고 냅시다.

 


융자의 비용 - 알고 냅시다. 

집을 사는 바이어가 융자 신청을 할 때 은행이나 론 오피서로부터 예상되는 융자비용 명세서(Good Faith Estimate & Truth-in Lending)를 융자 신청 후 3 일 안에 서면이나 우편으로 받게 됩니다
그리고 융자서류(Loan Docs)가 나오면 에스크로 회사 (또는, 클로징 변호사)는 바이어의 다운 페이와 모든 경비를 포함한 견적서(Estimated HUD-1)를 작성하고 바이어는 에스크로 회사에서 작성한 예상 견적서(Estimated HUD-1)에 명시된 돈을 은행 보증수표(Casher’s Check) 또는 송금 등으로 클로징 테이블로 가져가야 합니다. 이때 에스크로에서는 개인 수표(Personal Check)는 받지 않습니다. 

에스크로가 끝나면 에스크로 회사에서는 클로징 명세서(Final HUD-1 or Final Settlement Statement)를 바이어에게 제공하며, 이 HUD-1 에는 주택을 구매하는데 들어간 모든 비용이 자세하게 기록되어 있습니다. HUD-1 에서 융자와 관련된 비용은 Items Payable in Connection with Loan(800 번대)라고 적혀있으며 그 아래로 다른 각종 비용이 명시되어 있습니다. 

주택 구입을 하실 때나 재융자를 할 때에 드는 비용은 크게 두 가지로 구분이 될 수 있는데 이들은 Non Recurring Closing Costs 와 Recurring Closing Costs 입니다. 
 Non Recurring Closing Costs 는 흔히 “One Time Fee”라고도 불리 우는데 이것은 해당 
융자를 받는데 있어서 드는 실제 비용을 이야기 합니다. 이 비용에는 Appraisal Fee (주택 감정비), Credit Report Fee (신용 조사서비), Processing Fee (융자 서류 준비 및 신청비), Underwriting Fee(융자 심사 비용), Document Fee(서류 작성비), Tax Related Service Fee (재산세에 관한 정보 조사비), Escrow Fee (에스크로 비), Notary Fee (공증비), Title Insurance Fee (소유자 보험비), Miscellaneous Fee (기타 등기 및 서류 배송료) 등이 있습니다. 

801. Loan Origination Fee - 포인트(Point)라고 부르기도 하는데 이 융자비용을 쉽게 Loan Fee 라고 하기도 합니다. 은행이나 융자회사가 융자를 해 줌으로서 청구하는 비용으로 융자금액을 기준으로 퍼센트(%)로 계산됩니다. 일반적으로 정해진 퍼센트의 기준은 없으며 은행과 융자 회사마다 다르고 또 이자율에 따라서도 달라 질 수 있습니다. 융자를 받는 액수가 30 만달러 이고 융자비용이 1 퍼센트(%)이면 비용은 $3,000 입니다. 융자를 신청할 때에는 융자비용이 얼마인지를 반드시 결정하고 시작해야 합니다. 

802. Discount Point - 한번만 청구되는 비용으로 이자율을 현 시세보다 낮추기 위해 지불하는 수수료입니다. 예를 들면 현재 받을 수 있는 이자가 6%인데 이자를 5.5%로 받으려면 디스 카운트 포인트를 내고 낮은 이자를 사는 것입니다. 일반적으로 이자를 0.25% 낮추려면 1%의 디스카운트 포인트를 내게 되는데 은행마다 다르고 이자를 고정시키는(Lock-in) 당일의 채권 시장의 상황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얼마나 오래 이집에 살것인가에 따라 이자율을 낮추기 위해 이 수수료(Discount Point)를 지불할것인가를 결정 할 수 있을 것입니다. 

803. Appraisal Fee - 주택감정서는 주택 구입시 또는 재융자를 신청 할때 정당한 주택가격 평가를 위해 은행에서 요구하는 필수 서류 중의 하나이며, 2010 년 5 월 부터 주택 감정가 부풀리기를 막기위해 새롭게 시행된 “주택 감정 규정 (HVCC)”에 따라 융자회사 또는 융자 담당자가 직접 감정을 감정사에게 의뢰 할 수 없고, 감정 가격에 대한 어떠한 영향력도 끼칠 수 없으며, 모든 감정은 주택감정 메니지먼트사(Appraisal Management Company)를 통해서만 감정을 의뢰하게 됩니다. 융자 신청자는 적어도 클로징 3 일전에는 감정서 사본을 받으실 수 있습니다.

804. Credit Report Fee - 융자신청자의 크레딧점수와 기록을 조사하기 위해 드는 비용입니다.

810. Lender Fee - 은행의 서류 심사비용이며, Underwriting Fee, Tax Service Fee, Flood vertification Fee, Loan Doc Fee, Tax Service Fee 가 여기에 포함이 됩니다. 

812. Processing Fee - 융자를 받기 위하여 융자 신청인을 대신해 은행의 심사기준에 맞게 여러가지 서류를 준비하는 비용이며 회사에 따라서 액수가 조금씩 다를 수 있습니다. 

813. Desk Review Fee - 감정사가 제출한 감정서류를 재검토하는 비용입니다. 감정 재검토는 데스크 리뷰(Desk Review)와 필드 리뷰(Field Review)가 있는데 늘 있는 비용은 아니지만 주택의 가격이 많이 내려간 현 시장 상태를 고려하여 요즈음은 현장에 나가서 재검토하는 필드 리뷰가 많아 졌습니다. 

1101. Settlement or Escrow Fee - 에스크로회사에 지불되는 비용입니다. 이는 에스크로 회사의 서비스에 대하여 바이어가 부담해야하는 비용입니다. 매매 가격에 따라 달라지며 일반적 으로 기본가격 $200 정도에$1000 당 2 달러 정도의 가격대를 형성하고 있다. ($200+$2 per $1,000) 

1106. Notary Fee - 융자서류에 대한 공증비용입니다. 

1108. Title Insurance - 집문서에 대한 보험입니다. 소유권 이전 후 발생하는 문서상의 문제로부터 집주인과 융자를 해준 은행을 보호 하기 위하여 주택 구입시 한번만 지불하는 소유권에 대한 보험료입니다. 채권자 보험(Lender’s Coverage)은 의무적으로 요구되며 바이어가 지불하고, 채무자 보험(Owner’s Coverage)는 선택 사항이며 바이어 또는 셀러가 지불하기도 합니다. (Lender's Coverage:융자금액 ×0.2%, Owner's Coverage: 집가격 ×0.125% 정도) 

1111. Sub-Escrow Fee - 소유권이 양도되는 과정에서 바이어가 대출한 금액이 은행으로 부터 타이틀 회사로 건네지고 셀러가 가지고 있는 대출을 갚고 남은 돈은 에스크로를 통해 셀러에게 전해집니다. 새로운 집 문서와 대출 내역은 타이틀 회사가 에스크로로부터 넘겨받아 확인 및 검증 절차를 거친 후 해당 카운티에 등기하는데 이때 타이틀 회사에서 부과되는 수수료 입니다.

1201. Recording Fee – 토지등기대장에 서류를 등기 시키는 데 들어가는 수수료로 바이어 또는 셀러 해당 당사자에게 부과 됩니다.  Recurring Closing Costs 는 실제로 융자에 대한 비용이라기보다는 에스크로를 마감하는데 있어서 미리 지불하게 되는 금액을 이야기 합니다. 이 비용에는 선불되는 이자금 (Pre-paid Interest), 화재 보험(Hazard Insurance) 그리고 재산세 (Property Tax) 등이 있습니다. 

901. 선불되는 이자금 (Pre-paid Interest) - 주택 융자의 페이먼트는 후불제이기 때문에 한달이 지난 후에 첫 페이먼트를 하게 됩니다. 그러므로 에스크로 마감일이 1 월 15 일이면 15 일부터 31 일까지의 이자를 미리은행에 지불하시고 2 월 1 일 부터 2 월 28 일 까지의 이자를 3 월 1 일에 지불하게 됩니다. 그러므로 미리 내야 하는 이자(Pre-Paid Interest) 를 적게 내려면 월 말에 에스크로를 닫으시면 조금이나마 절약 하실 수 있습니다. 
903. 화재 보험 (Hazard Insurance) - 화재 보험은 1 년치를 에스크로에서 미리 선불하게 되시는데 자동차 보험이나 생명 보험을 가지고 있는 보험회사에 먼저 알아 보시면 절약을 하실 수가 있습니다.

재산세 (Property Tax) - Section 900 에는 포함되지는 않으나 에스크로 종결시 중요한 부대
비용의 하나가 재산세입니다. 캘리포니아 재산세는 7 월을 회계년도 시작으로 하여 1 년에 두번 납부하도록 되어습니다. 첫번째분은 11 월 1 일까지 (12 월 10 일 오후 5 시 이후 10%벌금) 납부 하고, 두번째분은 2 월 1 일까지(4 월 10 일 오후 5 시 이후 10%벌금)납부해야 합니다. 만약 주택구입 에스크로가 3 월 10 일에 종결 예정인데 셀러가 두번째분 재산세를 이미 납부한 상태 라면 바이어는 3 월 11 일부터 6 월 30 일에 해당하는 재산세분을 셀러에게 지불하여야 합니다. 만약 8 월 15 일 에스크로 종결 예정이어서 셀러가 재산세를 납부하지 않은 상태라면 반대로 셀러가 바이어에게 7 월 10 일부터 8 월 15 일에 해당하는 재산세분을 지불해야 합니다. 

융자 프로그램을 선택하는데 있어서는 융자 신청인의 상황에 따라 또는 선호에 따라 결정을 내리게 됩니다. 
No Closing Costs Loan 을 하게 되면 비용은 전혀 들지 않지만 이자율이 조금 올라가게 되고, No Point Loan 을 하게 되면 에스크로와 타이틀 비용과 등기 비용은 들지만 No Closing Costs Loan 보다 이자율이 조금 더 낮으므로 페이먼트를 조금 낮출 수 있습니다. 이자율을 기존 이자율 보다 조금 더 낮게 하려면 
Discount Point 를 지불하시게 되면 기존 이자율보다 낮은 이자율을 받으실 수 있습니다

댓글

인기 글

집값, 계속 오를까? 내릴까? 살 때인가, 기다릴 때인가?

  집값 ,   계속   오를까 ?   내릴까 ?   살   때인가 ,   기다릴   때인가 ? 금융   사태   이후   최대의   혼란기입니다 .   최근   부동산   시장은   그야말로   혼돈   속에   있습니다 .   코로나   이후   계속되는   인플레이션과   금리   인상 ,   그리고   경기   침체   우려가   겹치면서   주택 가격과   렌트   시장이   예상치   못한   방향으로   움직이며 ,   시장은   더욱   불확실성을   띠고   있습니다 .   그렇다면   지금   집을   살   시기일까요 ,   아니면   기다려야   할까요 ?   이번   칼럼에서는   현재   시장   상황을   분석하고   앞으로의   전망을   짚어보겠습니다 . 산불은 집값과 렌트 시장에 전혀 영향을 미치지 않습니다. 대형   산불로   인해   집값을   낮춰   구매하거나 ,   렌트를   과도하게   올리면   정부에서는   형사   처벌까지   하겠다고   합니다 .   팰리세이즈   인근   지역의   전년   11 월과   최근   한   달   거래를   MLS   자료를   기반으로 ...

주택시장에 대 변화를 가져올 부동산 커미션 소송

2023년11월에 전국 부동산중개인협회(NAR)가 반독점 소송 합의로 개선안을 7월부터 시행하기로 하고 4억 1,800만 달러를 배상하기로 하고 합의했읍니다.  이번 소송을 주류 메스컴에서는 부동산거래시스템개선의 관점으로 보는데 한인신문기사와 한인커뮤니티에서는 커미션이 줄어든다는 관점으로만 왜곡하는지 의문입니다. 지난 30년이래 최대의 이슈가되고 있는 부동산커미션 소송에대하여 Research해보았읍니다.   바이든 대통령마저 혼동하는 커미션에대한 측면   바이든 대통령이 주택거래 커미션 협상에대하여 지지한다는 발표를 여러번 했읍니다. 이에대하여 NAR은 커미션은 애초 정해진 금액이 없고, 그동안도 협상이 가능했왔다고 해명했읍니다. 이번 반독점소송의 주안점은 (1) 셀러가 모두 지불하던 커미션을 셀러는 셀러가 알아서 하고  바이어는 바이어가 알아서 각각 부담하라 ( 2) 바이어의 커미션을 MLS에 명시하여 불공정한 거래원인을 제공했으니, MLS에 커미션을 명시하지 말라는 것을 합의한것 입니다.   요점을 잘못 전달하는 메스컴 반독점 소송의 시작은 원고인 셀러측이 모든 커미션을 부담하는것은 불공정거래이고 이를  바로 잡자는것과 MLS정보 제공에대한 수정에서 시작됩니다. 일부 매체는 6% 커미션이 정해진것이라는데,  이는 잘못된 정보입니다. 셀러분들이 사인하시던 리스팅계약서 3항에”COMPENSATION TO BROKER: The amount or rate of real estate commissions is not fixed by law. They are set by each Broker individually and may be negotiable between Seller and Broker” 라고 명시되어 있읍니다. 즉, 커미션 액수(%)는 공란이며, 셀러와 합의하여 적어넣게되어 있읍니다. 미국전체 커미션 지급 평균은5.49%이고, CA는 5.11%입니다.   셀러의 비용절약과 바...

한번쯤 확인해봐야할 내집의 소유권 형태

한 쯤 확인해봐야할 내집의 소유권 형태 전년도 말 칼람에 2023년은 정말 고통스러운한해가될것이라고 말씀드렸지만, 역시 우리의 정부는 알게모르게 잘 헤쳐나가는것 같읍니다. 물가억제와 금리인상, 적극적인 기업체 지원, 환율조정등으로 슬기롭게 연착륙을 목표로 정책을 펼치는것 같읍니다. 다만 고통스러운 경기극복보다 더 치명적인 고물가상승과 경기후퇴가 동시에 나타나는 스택그 플레이션만 안왔으면 하는 바람입니다. 경기침체는 길어야 1년이내를  거쳐 정상적으로 돌아가나 스테그 플레이션은 장기적으로 경기가 엉망진창이되어 정말 고통스럽읍니다. 현재로서는 상황을  작년보다도 더 분석하기가 어려운사항입니다. 2022년만해도 모든것이 조용하고 인플레이션을지나 경기침제로 가는 방향으로 진행되었으나. 올해는 이도 저도 아닌 특이한 현상이 많이일어나는것도 기실은 걱정입니다. 다행인것은 미국은행은 이미 스트레스 테스트를 거쳐 최악의 상황이 와도 견딜수가 있읍니다. 반면에 아시아나, 특히 중국등,  불안정한 국가는 국가전체의 경제 폭락이라는 문제가 대두될수도 있읍니다. 어느 경제학자가 하는말이 지난 10여년간은 우리모두가 함께 에스컬레이터를 타서 망하는기업이나 치명적인 경제 하락 포인트를 경험치못하여 좋은 경제여건을 당연한것 처럼 생각하나, 앞으로 일어날 경기침체나 그이상의 않좋은 상황이 벌어지면 현금확보나 대비책을 갖지못한기업은 순간적으로 파산할것이라고 말합니다. 특히, 그동안의 정부정책에 기대거나 경기상승에 편승한 좀비기업은 빠른 속도로 파산을 할것이라고 합니다. 벌서,  좋지않은 상황이 올해의 기업파산이 작년 동기의 2배이상이고, 물가상승율이 제대로 조정이 안되어 전번주 FMC에서는 올내로 한번더 금리인상이 있을것이라고도합니다. 더욱이 부동산 시장은, 현재의 모기지금리는 근래들어 최고인 7.7%가지 상승하였고, 이에따라 모기지 신청율은 1995년이후 최저입니다. 올하반기만해도 평균주택금액은 5-6%가 오를것이라고 전망합니다. 일부 지역은 올해만 20...

COVID19에 따른 주택시장현황과 앞으로 전망.

  주택 구매가 더욱 어려워진다는데, 대책은 ? COVID19에 따른 주택시장현황과 앞으로 전망. 최근 주변 몇몇분들이 미국 생활이란 것이 자기 개인 사정을 이리저리 말을 할수 없으니 속으로 만 앓고 힘들어하는 모습을 볼수 있습니다.  투기도 아닌 안전하다고 판단 후  투자하신

불안한 미래와 노후에 대한 최고의 대책?

불안한 미래와 노후에 대한 최고의 대책 ? 주식시장이 이상하지요 ? 코로나 사태 전 28,000 을 오가던 다우존스지수가 3 월 중순 30 년래 최악의 폭락으로 18,000 까지 하락하였다가 다시 24,000 까지 자기들끼리 호재와 악재를 논하며 오르락 내리 락하고 있습니다 . 10 년간 가꾸어 온 실업률이 다시 10 년간 걸려야 회복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