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IRS에서 주택매매가격의 15%를 무조건 떼가는 경우

 IRS에 주택매매가격의 15%를 예치해야하는경우


IRS, 미국 세법에서는 외국인인 경우 주택을 구매 후 매각할 시 무조건 에스크로에서 매각대금의 15% 떼어내어 IRS에 보내게 되어 있습니다만약주택매각시 에퀴티가 부족하면 주택매매대금에 15%에 부족한 금액을 보태어 IRS에 예치해야 합니다에스크로과정에서 에스크로에서 매각대금에서 떼어내어 IRS로 보내기 때문에 예외는 없다고 보면 됩니다.

이는외국인특히중국투자자들이 미국내의 부동산을 구입 후 단기 차익을 챙긴 후 심한말로 먹튀를 하는 문제 때문에 그렇습니다. 1985년부터 시행되기는 하였지만 그동안은 그렇게 심각하게 제재하지않았으나근래 들어서는 Escrow에서 심각하게 검토하고 예치하게 합니다특히저도 이해가 안가지만 셀러가 세금을 예치하지 않은 경우 바이어가 예치세금을 대납해야 한다고 규정할 정도로 강하게 시행하고 있습니다.

정확히 얘기하면 주택매매시 에스크로에서는 다음과 같은 2가지의 세금을 예치하여 IRS에 보내게 되는데첫째는 주택판매대금이 100만불이하인경우매각대금의 10%, 100만불이 넘으면넘으면 15%를 예치납부해야합니다두번째는 원천징수 로서 캘리포니아주 세무국에 납부해야 하는 세금으로 주택거래금액의 3.33%를 납부하게 됩니다 바이어와 셀러는 반드시 알고 있어 이에 대비하여 서류를 미리 준비하고 CPA와 상의하여야 할 사항으로 왜 이제도가 시행되는지 와 어떻게 하면 납부를 면제받는지 알아보겠습니다바이어와 셀러는 에스크로가 시작되면서 에스크로 인스트럭션과 같이 사인을 해야 될 서류 중의 하나가 '셀러는 외국인이 아니다'(Seller's Affidavit of Nonforeign Status…)라는 확인을 하기 위한 서류를 받게 됩니다이 서류는 셀러가 먼저 서명을 하고 바이어로부터 확인사인을 받도록 되어 있으면셀러와 바이어들은 내용을 잘 읽어보고 이 서류가 무엇인지를 확실히 이해를 한 후에 서류를 사인하여야 합니다이서류의 목적은

부동산 매각 시 외국인 셀러는 매각대금의 10/15%를 IRS에 예치해야 합니다.
1985년 11일부터 시행된 '외국인 부동산 투자 세법,FIRTA(Foreign Investment In Real Property Tax Act)에는 외국인이 미국내에서 주택을 팔고 해외로 나갈 때는 반드시 에스크로 종료 후 10일 이내에 매각대금의 10% 혹은 15% 3.333%를 연방국세청(IRS)와 갤리포니아세무국(FTB)에 예치해야 됩니다.
2016 2 16일부터는 주택 판매가격이 100만 달러가 넘을 경우 IRS 예치세금이 15%로 인상됐었습니다선 예치 후외국인이 주택을 팔고 나서 다음해에 실시하는 개인 소득보고를 하는 경우 양도차액(Capital gain)에 대한 소득보고를 하면 필요한 세금을 공제하고 남는 금액에 대해서 환불하여 줍니다.

예를 들어 외국인이 90만 달러를 주고 주택을 구입한 뒤 3년뒤  4월에 120만 달러에 매각하였다면에스크로를 통해 IRS에 판매대금 120만불의 15% 인 18만불과 FTB에 3.33%인 39,960불 총 219,960불을 IRS에 예치하게 되고외국인이 다음해 세금보고 시 개인소득세 신고를 하게 될때 예치한 금액이 소득세보다 많을 경우 세금 환불절차를 통해 차액을 돌려주게 되며 만약 예치한 금액을 방치하고 세금보고를 하지 않는다면 남는 금액이 발생하여도 납부한 18.33%의 예치금액은 리 펀드 받을 수 없습니다.

바이어가 반드시 확인하고 넘어가야하는 사항 
바이어가 주택을 살 때는 반드시 셀러가 외국인인지 서류상으로 확인해야 합니다에스크로를 오픈하고 나서 거래 절차에 필요한 서류를 주고 받을 때 FIRTA와 관련된 양식이 있습니다이 서류에는 주택을 파는 셀러의 소셜넘버나 세금보고 넘버(Tax ID 번호)가 기입됩니다바이어와 에이전트는 이 양식을 보고 셀러가 외국인인지 아닌지를 판별할 수 있습니다만약 셀러가 외국인이라면 앞서 언급한 두가지 예치세금 즉 주택매각 대금의 10% 혹은 15% 3.333%가 에스크로 계좌에 예치되는지 확인해야 됩니다셀러가 외국인임에도 불구하고 예치금을 납부하지 않고 에스크로를 끝내게 되면 바이어가 예치금 만큼을 IRS FTB에 대신 납부해야 되는 황당한 일이  벌어지기 때문입니다만약셀러가 거짓 보고를 했을 경우바이어가 셀러로부터 받은 비외국인 진술서가 거짓인지 몰랐다면 셀러가 예치해야 할 금액을 대신 납부해야 되는 것을 면제해주고는 있습니다만 이 절차를 통해 바이어가 최종적으로 책임이 없다는 판정을 받으려면 많은 시간과 노력이 소요됩니다.

IRS세금예치를 면제받는방법
주택거래 가격이 30만 달러 이하면 셀러가 외국인이라도 세금을 예치할 필요가 없습니다또 바이어나 셀러가 IRS로부터 세금 예치를 면제받았다거나 셀러가 자신의 소득에 대한 세금을 내기로 별도로 합의했다는 증서(Withholding certificate)를 CPA와 상의하여 미리 준비한다면 세금예치를 면제받습니다제출된 서류는 주택 구입 후 5년간 반드시 보관하고 있어야 합니다.
3.33%를 예치하여야하는 캘리포니아 원천과세  
2003년부터 11일부터 시행된 부동산관련 세금으로 캘리포니아 부동산 원천과세법(California Real Estate WithholdingTax)에 근거를 두고 있습니다., 캘리포니아에 있는 부동산을 처분하는 경우부동산 매매가격의3.33%를 원천 징수하여 주정부 세무국에 예납하게 됩니다세금 액수는, .  혼동하면 않되는것이 부동산 매각의 양도 차익의 3.33%가아님니다부동산 매매가격의3.33%로 일률적으로 정해져 있습니다주택매매시 셀러는 에스크로부터 캘리포니아 부동산원천징수(California Real Estate WithholdingCertificate, 593-C)라는 양식을 받게되는데 에스크로 오피서는 이 양식을 통하여 해당 부동산이 원천과세의 대상인지아닌지를 판단하게 됩니다.
만약 해당 부동산이 원천과세의 대상이면 매매가격의 3.33%를 공제하여 주정부 세무국에 보내게 됩니다예를 들어 주택 매매가격이 50만달러인 경우 3.33% 16,650달러를 에스크로는 징수하여 주정부 세무국으로 보냅니다 셀러는 다음해 세금보고시 세금보고 결과에 따라서 예치된 원천징수 금액을 환불 받거나혹은 더 낼수 있습니다.
원천과세 예치 예외사항
매매가격이 10만달러 이하인 경우와셀러의 거주주택으로 지난 5년 중 2년 거주했을경우(Internal Revenue Code Section121), 세법조항 1031(Internal RevenueCode Section 1031)에 따른 1031 익스체인지를 하는 경우부동산 셀러가 일반 개인이 아닌 주식회사(corporation),LLC(limited liability company),파트너십인 경우부동산 셀러가 손실을 보고 팔거나 이익이 나지 않은 경우그리고 부동산 셀러가 연방 정부나 주 정부의 세금이 면제된 보험회사퇴직연금회사비영리단체 등일 경우는 원천징수 대상에서 제외됩니다.

주택매매시 에스크로 절차상에서 징수되어 예치되는 두가지 중요한 세금에 대하여 알아보았읍니다이러한 사항들은 부동산 에이전트가 잘 알고 설명과 안내를 해드리나,  개인별 세금보고시의 내용에 따라 예치후 환불받거나징수를 유예하는등 상이하므로 본인의 세금보고 내용을 잘 알고 있는 회계사와 상의하여 잘 처리하면 특별한 문제가 없을 것입니다특히본인이 외국인인 경우미리 세금보고한 내용을 준비하거나, Withholding Certificate를 회계사에게 부탁하여 IRS로부터 미리 받아 주택매각시 에스크로에 제출하면 매매시 에스크로가 징수하여 IRS에 보내어 다음해 세금보고시 환불받는 어려운 일을 겪지 않으실것입니다.

* 본컬럼의 저작권은 Kenny Cho에게 있습니다

댓글

인기 글

집값, 계속 오를까? 내릴까? 살 때인가, 기다릴 때인가?

  집값 ,   계속   오를까 ?   내릴까 ?   살   때인가 ,   기다릴   때인가 ? 금융   사태   이후   최대의   혼란기입니다 .   최근   부동산   시장은   그야말로   혼돈   속에   있습니다 .   코로나   이후   계속되는   인플레이션과   금리   인상 ,   그리고   경기   침체   우려가   겹치면서   주택 가격과   렌트   시장이   예상치   못한   방향으로   움직이며 ,   시장은   더욱   불확실성을   띠고   있습니다 .   그렇다면   지금   집을   살   시기일까요 ,   아니면   기다려야   할까요 ?   이번   칼럼에서는   현재   시장   상황을   분석하고   앞으로의   전망을   짚어보겠습니다 . 산불은 집값과 렌트 시장에 전혀 영향을 미치지 않습니다. 대형   산불로   인해   집값을   낮춰   구매하거나 ,   렌트를   과도하게   올리면   정부에서는   형사   처벌까지   하겠다고   합니다 .   팰리세이즈   인근   지역의   전년   11 월과   최근   한   달   거래를   MLS   자료를   기반으로 ...

주택시장에 대 변화를 가져올 부동산 커미션 소송

2023년11월에 전국 부동산중개인협회(NAR)가 반독점 소송 합의로 개선안을 7월부터 시행하기로 하고 4억 1,800만 달러를 배상하기로 하고 합의했읍니다.  이번 소송을 주류 메스컴에서는 부동산거래시스템개선의 관점으로 보는데 한인신문기사와 한인커뮤니티에서는 커미션이 줄어든다는 관점으로만 왜곡하는지 의문입니다. 지난 30년이래 최대의 이슈가되고 있는 부동산커미션 소송에대하여 Research해보았읍니다.   바이든 대통령마저 혼동하는 커미션에대한 측면   바이든 대통령이 주택거래 커미션 협상에대하여 지지한다는 발표를 여러번 했읍니다. 이에대하여 NAR은 커미션은 애초 정해진 금액이 없고, 그동안도 협상이 가능했왔다고 해명했읍니다. 이번 반독점소송의 주안점은 (1) 셀러가 모두 지불하던 커미션을 셀러는 셀러가 알아서 하고  바이어는 바이어가 알아서 각각 부담하라 ( 2) 바이어의 커미션을 MLS에 명시하여 불공정한 거래원인을 제공했으니, MLS에 커미션을 명시하지 말라는 것을 합의한것 입니다.   요점을 잘못 전달하는 메스컴 반독점 소송의 시작은 원고인 셀러측이 모든 커미션을 부담하는것은 불공정거래이고 이를  바로 잡자는것과 MLS정보 제공에대한 수정에서 시작됩니다. 일부 매체는 6% 커미션이 정해진것이라는데,  이는 잘못된 정보입니다. 셀러분들이 사인하시던 리스팅계약서 3항에”COMPENSATION TO BROKER: The amount or rate of real estate commissions is not fixed by law. They are set by each Broker individually and may be negotiable between Seller and Broker” 라고 명시되어 있읍니다. 즉, 커미션 액수(%)는 공란이며, 셀러와 합의하여 적어넣게되어 있읍니다. 미국전체 커미션 지급 평균은5.49%이고, CA는 5.11%입니다.   셀러의 비용절약과 바...

한번쯤 확인해봐야할 내집의 소유권 형태

한 쯤 확인해봐야할 내집의 소유권 형태 전년도 말 칼람에 2023년은 정말 고통스러운한해가될것이라고 말씀드렸지만, 역시 우리의 정부는 알게모르게 잘 헤쳐나가는것 같읍니다. 물가억제와 금리인상, 적극적인 기업체 지원, 환율조정등으로 슬기롭게 연착륙을 목표로 정책을 펼치는것 같읍니다. 다만 고통스러운 경기극복보다 더 치명적인 고물가상승과 경기후퇴가 동시에 나타나는 스택그 플레이션만 안왔으면 하는 바람입니다. 경기침체는 길어야 1년이내를  거쳐 정상적으로 돌아가나 스테그 플레이션은 장기적으로 경기가 엉망진창이되어 정말 고통스럽읍니다. 현재로서는 상황을  작년보다도 더 분석하기가 어려운사항입니다. 2022년만해도 모든것이 조용하고 인플레이션을지나 경기침제로 가는 방향으로 진행되었으나. 올해는 이도 저도 아닌 특이한 현상이 많이일어나는것도 기실은 걱정입니다. 다행인것은 미국은행은 이미 스트레스 테스트를 거쳐 최악의 상황이 와도 견딜수가 있읍니다. 반면에 아시아나, 특히 중국등,  불안정한 국가는 국가전체의 경제 폭락이라는 문제가 대두될수도 있읍니다. 어느 경제학자가 하는말이 지난 10여년간은 우리모두가 함께 에스컬레이터를 타서 망하는기업이나 치명적인 경제 하락 포인트를 경험치못하여 좋은 경제여건을 당연한것 처럼 생각하나, 앞으로 일어날 경기침체나 그이상의 않좋은 상황이 벌어지면 현금확보나 대비책을 갖지못한기업은 순간적으로 파산할것이라고 말합니다. 특히, 그동안의 정부정책에 기대거나 경기상승에 편승한 좀비기업은 빠른 속도로 파산을 할것이라고 합니다. 벌서,  좋지않은 상황이 올해의 기업파산이 작년 동기의 2배이상이고, 물가상승율이 제대로 조정이 안되어 전번주 FMC에서는 올내로 한번더 금리인상이 있을것이라고도합니다. 더욱이 부동산 시장은, 현재의 모기지금리는 근래들어 최고인 7.7%가지 상승하였고, 이에따라 모기지 신청율은 1995년이후 최저입니다. 올하반기만해도 평균주택금액은 5-6%가 오를것이라고 전망합니다. 일부 지역은 올해만 20...

COVID19에 따른 주택시장현황과 앞으로 전망.

  주택 구매가 더욱 어려워진다는데, 대책은 ? COVID19에 따른 주택시장현황과 앞으로 전망. 최근 주변 몇몇분들이 미국 생활이란 것이 자기 개인 사정을 이리저리 말을 할수 없으니 속으로 만 앓고 힘들어하는 모습을 볼수 있습니다.  투기도 아닌 안전하다고 판단 후  투자하신

불안한 미래와 노후에 대한 최고의 대책?

불안한 미래와 노후에 대한 최고의 대책 ? 주식시장이 이상하지요 ? 코로나 사태 전 28,000 을 오가던 다우존스지수가 3 월 중순 30 년래 최악의 폭락으로 18,000 까지 하락하였다가 다시 24,000 까지 자기들끼리 호재와 악재를 논하며 오르락 내리 락하고 있습니다 . 10 년간 가꾸어 온 실업률이 다시 10 년간 걸려야 회복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