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2021년에는 주택시장에 무엇이 중한지 어떤 변화가 있을지 말씀드립니다.

 









2021
년에는 주택시장에 무엇이 중한지 어떤 변화가 있을지 말씀드립니다.

  전부터 구매할 주택을 보시고 계신 고객분이 ,  이웃 분들로부터  주택가격이 떨어질 것이니 집을  사면 안된다”  한다며지금 집을 사도 되느냐 여쭈어 보신적이 있습니다 고객분은  5년전 보유하고 있던  낡은 집을 처분하고 주식과 부동산에 대한 투자유리성을  여쭈어 보시기에   좋지만 주식투자는 적어도 하루에 4시간이상 꾸준한 공부와  증권사 퇴직 간부들의 많은 분들이 집이 없을 정도로 변동성이 심한  어려운 투자이니  심사숙고 하시라고 말씀드렸습니다그후 주식투자에 재미를 보지 못하시고부동산으로 선회하시어 은퇴  수입용 주택을 구매하려고집을 보기 시작한 분입니다 당시 시나리오를 드리기를 지금의 밸리 남동쪽의 지역은 가격 선행 지역이고 주택이 너무 낡아 관리가 힘드니 매각을 하시고  밸리 북쪽에  단독주택을 구입하신  다시 10년정도 지난  관리가 쉬운  콘도로 옮겨 은퇴  관리가 용이하고지속적인 수입을 얻으실  있도록 방안을 권고 드렸습니다  해에 집을 보시며내내 가격이 내릴까?,   집이 없을까?(미국이라는 나라는 철저한 통계에 의한 나라이므로 적절하고 내가 살기 좋은 집은 있어도  집은 없습니다),  살까?, 말까 망설이시다가 해를 넘겨원래 구매하려던 지역의 주택가격이  10만불 정도가 상승해 버렸고오르기  가격만 바라보며 억울해서  못사시겠다며  한해가 지나갔습니다.    
작년 봄에는 주택가격 하락조정이 온다는 이웃집 아줌마 아저씨들의 책임 없는 말씀과자극적 제목이 담긴 신문기사를 보시고 오른 가격인  68만에도 구매를 못하시고 작년 가을에 75만불 넘게 훌쩍 오르자 ,  68만이었던 가격 아쉬워서 구매를 못하셨습니다 성격상 사시라고 밀어 부치기를 못하나 과감하게 장기적이니 의견과  지금의 가격이 맞는지전월호 칼럼에 거론했던 투자회수가 좋은 주택지역을 선택하는법등을 다시 한번  말씀드려 지금은  돌아 보시지 않고  앞만 보시며,좋은 집을 찾으시다가 오퍼를 넣고 결과를 기다리고 있습니다.  그리고 한마디 하십니다. “내가  주식을 해서 많은 돈을 잃어 버렸는지 알겠다고”. 봄과 가을  계절적 요인과금리등요인에 의하여 주택 가격은 작은 폭을 오르고 내리나장기  가격 변동 선을 그려보면  작은 오르고 내리는 폭과는 관계없이 꾸준히 완만한 상승의 폭을 그리는 것을 알수 있습니다이런 저런 많은 생각보다는  미래 투자회수와  스위트홈만 생각하여 뿌연 안개와 같이 불확실성만 보이지 않는다면 즉시 실행에 옮겨야   입니다
2021  시점과 향후 일어날 몇가지 중요한 관점을 말씀드리겠습니다
주택 렌트 미납에 관한사항,
2020 10 기준 캘리포니아의 렌트연체율은 13.9%입니다연체의 대부분은 커머셜에 속하는 인컴 유닛과  아파트에 거주하시는 어려운 분들로서실제 주택시장에는 그리  영향을 미치지는 않습니다.
주택  모기지 연체에대하여
2020 10월기준 LA 카운티의 모기지 연체율은 3.4%이며코로나 초기 발생시기때보다는 다소 나아진 상태입니다금융대란때와는 달리 각집마다 에퀴티가 많아   세일이 불가능하므로아마 대부분의 은행은 지출비용과 관리의 문제로 최대한 차압은 피할 것이며그동안 밀린 모기지를 합하여 재융자를 받도록 Loan modify 권고  것이며 대부분의 주택소유자는 이를 충분히 감당하거나 어려우면 주택을 매매하여 융자를 갚고 크레딧 보호에  나설것입니다 실제로 치명적인 분들은 커머셜이나 아파트를 보유하신 분들일 것입니다.
평생 다시 보지못할 금리
제가 2001년도 주택구매시 받은 30만불, 30년고정 금리가 10.8% 였습니다 불입금은 2,811불이였습니다.  올해 121  기준  금리는 2.51%로서  페이먼트는 1,186불로   안되는 42%입니다 이상 설명이 필요 없다고 생각합니다.  이는 주택구매가능  금액으로 보면, 10.81%    10만불다운하여 40만불 규모의 주택의 구매가 가능하나, 2.51%인경우는 똑같은 다운페이먼트로  85만불짜리 저택의 구매 가능하니 금리의 무서움을   있습니다       
주택재고에대하여
주택재고는 실버 세대의 수명이 늘어남 으로 인한 주택보유기간의 연장금융대란후 장기간 신규주택 건설 중지,  자연 인구 증가  유입인구의 증가 등으로 지금은 소강상태이나 3-5년이내  주택의 절대부족 현상으로 치달을것입니다 
주택가격 하락 혹은  상승
이는   지나간 칼럼에서 설명을  드렸지만 앞으로 Buyer’s market 보기가 극히 어려울 것이고이는  10년넘게 주택정책의 미반영과  장기적인 수요와 공급의 절대부족으로  주택 가격은 계속 오를  입니다
한발 늦는 한인커뮤니티
작년 6월이후  커뮤니티는 금리와 주택소유형태의 변화로 급격이 주택의 매매가 늘어  120 주간 통계를 보면  밸리와 산타클라리타는 새로 나온 매물이 284채이나팔린 매물은 299채입니다이런 식으로 신규 매물이 팔린 매물보다 부족함이 몇개월만 지속되면 가을도 아닌 늦봄에는 한차례  강한 주택가격 상승이 있을 것입니다 저희  한인분들은 이제 봄이 들어서니 급하게 구매에 나서 멀티플 오퍼나 리스팅에 오버 프라이스 가격에 놀라고 계시고이제는 한번 정리할 단계에 이르신 60-70 되신분들도 이제 주택을 판매 하면 어떤가하고 계속문의를 하십니다 작년 중반에 시작하셨으며  좋으셨을 터인데.

금융사태후 주택가격 폭락  고객분들에게 평생 이런 주택가격은 다시 경험하지못하실것이라고 말씀드린 적이 있습니다이번에는  “ 평생 앞으로 이런 2%중반대 금리는 경험하지못할 이라고  자신 있게 말씀드립니다작년 2월에 32만불정도하던  팜데일의 단독주택을 11월에  44만불에 매매해드렸습니다오른 가격도 가격이지만라티노분들의 빠른 행보에 놀랐습니다시장에 매물을 내놓자 4개의 오퍼가 들어오고 분은 15.000불의 오버 프라이스에 12,000불의 크로징코스트 크레딧을 요구하였습니다. FHA 3.5%다운이니 다운페이와 클로징코스트에서 크레딧을 빼니이분은 4, 2,200SF 마당이 9,000SF 새집을   구매비용 12,000불에    1,800 모기지 불입으로기존 오렌지 카운티에서 내던 렌트의 반으로  크고 멋있는  스위트홈을  마련 한것입니다 과감하게 시외곽에 학군이 그런대로 좋고일터가 많은 곳이 있다면  이사를 않하겠읍니가 우리도 이러식으로 여러 방면으로 생각의 발상을 바꾸어볼필요가 있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댓글

인기 글

집값, 계속 오를까? 내릴까? 살 때인가, 기다릴 때인가?

  집값 ,   계속   오를까 ?   내릴까 ?   살   때인가 ,   기다릴   때인가 ? 금융   사태   이후   최대의   혼란기입니다 .   최근   부동산   시장은   그야말로   혼돈   속에   있습니다 .   코로나   이후   계속되는   인플레이션과   금리   인상 ,   그리고   경기   침체   우려가   겹치면서   주택 가격과   렌트   시장이   예상치   못한   방향으로   움직이며 ,   시장은   더욱   불확실성을   띠고   있습니다 .   그렇다면   지금   집을   살   시기일까요 ,   아니면   기다려야   할까요 ?   이번   칼럼에서는   현재   시장   상황을   분석하고   앞으로의   전망을   짚어보겠습니다 . 산불은 집값과 렌트 시장에 전혀 영향을 미치지 않습니다. 대형   산불로   인해   집값을   낮춰   구매하거나 ,   렌트를   과도하게   올리면   정부에서는   형사   처벌까지   하겠다고   합니다 .   팰리세이즈   인근   지역의   전년   11 월과   최근   한   달   거래를   MLS   자료를   기반으로 ...

주택시장에 대 변화를 가져올 부동산 커미션 소송

2023년11월에 전국 부동산중개인협회(NAR)가 반독점 소송 합의로 개선안을 7월부터 시행하기로 하고 4억 1,800만 달러를 배상하기로 하고 합의했읍니다.  이번 소송을 주류 메스컴에서는 부동산거래시스템개선의 관점으로 보는데 한인신문기사와 한인커뮤니티에서는 커미션이 줄어든다는 관점으로만 왜곡하는지 의문입니다. 지난 30년이래 최대의 이슈가되고 있는 부동산커미션 소송에대하여 Research해보았읍니다.   바이든 대통령마저 혼동하는 커미션에대한 측면   바이든 대통령이 주택거래 커미션 협상에대하여 지지한다는 발표를 여러번 했읍니다. 이에대하여 NAR은 커미션은 애초 정해진 금액이 없고, 그동안도 협상이 가능했왔다고 해명했읍니다. 이번 반독점소송의 주안점은 (1) 셀러가 모두 지불하던 커미션을 셀러는 셀러가 알아서 하고  바이어는 바이어가 알아서 각각 부담하라 ( 2) 바이어의 커미션을 MLS에 명시하여 불공정한 거래원인을 제공했으니, MLS에 커미션을 명시하지 말라는 것을 합의한것 입니다.   요점을 잘못 전달하는 메스컴 반독점 소송의 시작은 원고인 셀러측이 모든 커미션을 부담하는것은 불공정거래이고 이를  바로 잡자는것과 MLS정보 제공에대한 수정에서 시작됩니다. 일부 매체는 6% 커미션이 정해진것이라는데,  이는 잘못된 정보입니다. 셀러분들이 사인하시던 리스팅계약서 3항에”COMPENSATION TO BROKER: The amount or rate of real estate commissions is not fixed by law. They are set by each Broker individually and may be negotiable between Seller and Broker” 라고 명시되어 있읍니다. 즉, 커미션 액수(%)는 공란이며, 셀러와 합의하여 적어넣게되어 있읍니다. 미국전체 커미션 지급 평균은5.49%이고, CA는 5.11%입니다.   셀러의 비용절약과 바...

한번쯤 확인해봐야할 내집의 소유권 형태

한 쯤 확인해봐야할 내집의 소유권 형태 전년도 말 칼람에 2023년은 정말 고통스러운한해가될것이라고 말씀드렸지만, 역시 우리의 정부는 알게모르게 잘 헤쳐나가는것 같읍니다. 물가억제와 금리인상, 적극적인 기업체 지원, 환율조정등으로 슬기롭게 연착륙을 목표로 정책을 펼치는것 같읍니다. 다만 고통스러운 경기극복보다 더 치명적인 고물가상승과 경기후퇴가 동시에 나타나는 스택그 플레이션만 안왔으면 하는 바람입니다. 경기침체는 길어야 1년이내를  거쳐 정상적으로 돌아가나 스테그 플레이션은 장기적으로 경기가 엉망진창이되어 정말 고통스럽읍니다. 현재로서는 상황을  작년보다도 더 분석하기가 어려운사항입니다. 2022년만해도 모든것이 조용하고 인플레이션을지나 경기침제로 가는 방향으로 진행되었으나. 올해는 이도 저도 아닌 특이한 현상이 많이일어나는것도 기실은 걱정입니다. 다행인것은 미국은행은 이미 스트레스 테스트를 거쳐 최악의 상황이 와도 견딜수가 있읍니다. 반면에 아시아나, 특히 중국등,  불안정한 국가는 국가전체의 경제 폭락이라는 문제가 대두될수도 있읍니다. 어느 경제학자가 하는말이 지난 10여년간은 우리모두가 함께 에스컬레이터를 타서 망하는기업이나 치명적인 경제 하락 포인트를 경험치못하여 좋은 경제여건을 당연한것 처럼 생각하나, 앞으로 일어날 경기침체나 그이상의 않좋은 상황이 벌어지면 현금확보나 대비책을 갖지못한기업은 순간적으로 파산할것이라고 말합니다. 특히, 그동안의 정부정책에 기대거나 경기상승에 편승한 좀비기업은 빠른 속도로 파산을 할것이라고 합니다. 벌서,  좋지않은 상황이 올해의 기업파산이 작년 동기의 2배이상이고, 물가상승율이 제대로 조정이 안되어 전번주 FMC에서는 올내로 한번더 금리인상이 있을것이라고도합니다. 더욱이 부동산 시장은, 현재의 모기지금리는 근래들어 최고인 7.7%가지 상승하였고, 이에따라 모기지 신청율은 1995년이후 최저입니다. 올하반기만해도 평균주택금액은 5-6%가 오를것이라고 전망합니다. 일부 지역은 올해만 20...

COVID19에 따른 주택시장현황과 앞으로 전망.

  주택 구매가 더욱 어려워진다는데, 대책은 ? COVID19에 따른 주택시장현황과 앞으로 전망. 최근 주변 몇몇분들이 미국 생활이란 것이 자기 개인 사정을 이리저리 말을 할수 없으니 속으로 만 앓고 힘들어하는 모습을 볼수 있습니다.  투기도 아닌 안전하다고 판단 후  투자하신

불안한 미래와 노후에 대한 최고의 대책?

불안한 미래와 노후에 대한 최고의 대책 ? 주식시장이 이상하지요 ? 코로나 사태 전 28,000 을 오가던 다우존스지수가 3 월 중순 30 년래 최악의 폭락으로 18,000 까지 하락하였다가 다시 24,000 까지 자기들끼리 호재와 악재를 논하며 오르락 내리 락하고 있습니다 . 10 년간 가꾸어 온 실업률이 다시 10 년간 걸려야 회복이